728x90

들어가며

29CM 고객의 행동을 관찰하고 문제를 정의한 후 가설 설정 및 검증을 거친 사례를 살펴보며 고객 행동을 기반으로 임팩트 있는 기획을 하는 방법에 대해 배운다.

 

고객의 행동 관찰하기

1. 고객을 직접 만나 보이스를 들어보기

2. 고객이 남긴 데이터를 분석하기

  • 고객의 문제를 간접적으로 발견하고 그 원인을 유추하는 방법론

 

고객은 흔적을 남긴다.
팀에서 달성(개선)하고자 하는 지표를 설정한 후 해당 지표에 가장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고객의
행동 데이터부터 살펴보는 것이 효과적이다.

 

 

29CM 고객 행동 살펴보기

재구매(Retention) 고객을 대상으로 그들의 재구매가 어디서 발생했는지 살펴보면 아카이빙(Like/장바구니)의 비중이 높다.

→ 우리 고객은 아카이빙 기능을 활용해 활발히 재구매를 하는 것으로 보인다.
 잘 해석한 것이 맞는지 먼저 살펴봐야 한다.

 

 

문제 정의&가설 수립

1. 분석한 고객의 행동이 사실인지 확인하기

데이터 검증을 통해 아카이빙이 재구매에 도움이 되는 것은 사실임을 확인했다.

그러나 모든 고객이 적극적으로 아카이빙 상품을 재구매한다고 일반화하기에는 어렵다.

실제 상품을 아카이빙한 고객만을 놓고 보면 아카이빙 상품을 재구매하는 고객의 비율은 10%가 채 되지 않는다.

 

단편적인 view로 성급한 결론을 내리면 나머지 90%의 고객으로부터 창출할 수 있는 임팩트 기회를 놓치게 된다.

90%의 고객은 왜 상품을 아카이빙 해두고 다시 구매하지 않는가?

 

 

고객 행동의 이유 

시간에 따른 한계 효용을 매우 심하게 체감한다.

구매 타이밍이 지연되다 보면 대다수의 상품이 품절된 아카이빙 채널을 다시 방문하더라도 구매 기회가 박탈된다.

 

문제 설정

고객은 마음에 드는 상품을 아카이빙해두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해당 상품에 대한 관심이 떨어져 적절한 구매 타이밍을 놓치게 된다.

가설: 고객이 마음에 드는 상품을 잊지 않도록 리마인드 해주면 해당 상품에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구매할 것이다.

 

가설 검증

실험: 상품을 장바구니에 담아두고 구매를 하지 않은 고객, 상품을 Like 해두고 구매를 하지 않은 고객을 대상으로 해당 상품을 리마인드 하는 메시지를 발송한다.
검증 지표: CTR(푸시 클릭율), CVR(구매 전환율)

* 고객이 상품에 관심을 가지면 푸시 CTR이 증가하고 관심 상품을 구매하면 CVR이 증가할 것

 

 

실험 결과

1. CTR, CVR은 일반 광고 푸시 대비 13배, 10배 높은 수치 기록, 기대 임팩트 대비 144% 초과 달성

2. 고객이 좋아하는 상품을 리마인드 해주는 것만으로 상품에 대한 관심이 지속하고 이 관심이 구매까지 이어진다는 것을 검증

3. 리소스를 투입해 자동화&개인화

 

결론&러닝

고객의 행동을 잘 관찰하는 것만으로도 새로운 기능, 비즈니스 기회를 발견할 수 있다.

 

어떤 문제를 왜 풀어야 하는지 뾰족하게 정의하지 않은 채 제품을 기획하면 결국 공급자가 원하는 제품을 만들기 마련이다.

> 이런 제품은 당연하게도 고객의 선택을 받지 못하고 폐기된다.

 

 

 

 

나의 생각

이번 내용을 통해 단편적인 view를 바라보기보다 더 넓은 기회를 잡을 수 있도록 정의한 문제가 맞는지, 그 문제에 해당하는 고객은 어느 정도인지를 파악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728x90

들어가며

플랫폼 비즈니스, 플랫폼이 어떻게 사업을 창출해 내는지 살펴보고 그 과정 내에서 사용자와 파트너를 고려하는 방법과 이유에 대해 알아본다.

 

 

 

1. 플랫폼 비즈니스란?

플랫폼이란?

수요자와 공급자 간의 거래가 가능하도로 구현된 생테계

  • 플랫폼은 각자의 비즈니스 전략, 프로덕트 방향성, 사용자 카테고리, 공급자 카테고리 등에 맞춰 각자에 맞는 성장 사이클을 만들어서 더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더 나은 설루션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생태계를 구축하고 수요자와 공급자 간의 거래를 촉진하여 특정 가치를 포착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비즈니스 모델
  • 공급자, 수요자에 편향된 서비스를 제공해서는 되지 않으며 많은 이해관계자의 니즈를 충족하는 것이 필요하다.

서비스 플랫폼 예시

플랫폼 성장 사이클

Napkin Business Stategy: 플랫폼 성장 사이클 - Jeff Bezos

 

플랫폼 비즈니스란?

생태계를 구축하고 수요자와 공급자 간의 거래를 촉진해 특정 가치를 포착하고 수익을 창출하는 비즈니스 모델

  • B2C 기업의 수익 모델은 기존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 편의를 증대시키는 것
  • B2B 기업의 수익 모델은 효율적이고 효과 좋은 설루션을 제공하여 기업과 파트너사의 이윤 창출
  • 회사의 생존을 위해 이윤을 추구  테크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 = 비즈니스 플랫폼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 예시

 

 

2. 플랫폼 기획과 비즈니스 모델

비즈니스 모델 유형

1. 거래 플랫폼

거래 중개

- 특별한 니즈가 있는 사용자와 공급자를 매칭시킨다.

- 공급자와 수요자 양쪽 모두와 거래가 이뤄지도록 한다(거래 자체에 집중).

 

2. 싱글 플랫폼

인공지능 기반의 기능 제공 플랫폼

- 플랫폼 사업자의 갖춰진 인프라를 기반으로 API나 SDK와 같은 기능(설루션)을 수요자에게 제공한다.

- 공급자가 본인 플랫폼 사업자 자신이기 때문에 공급자가 별도로 존재하지 않는다.

- 싱글 플랫폼의 수요자는 대부분 기업 또는 조식의 형태를 띤다.

 

 

3. 멀티 플랫폼

트래픽 기반의 설루션 제공

- 플랫폼 비즈니스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를 띤 플랫폼이다.

- 공급자와 수요자를 단순히 매칭시키는 것이 아니라, 공급자도 수요자가 될 수 있으며 수요자도 단순히 서비스를 이용하고 거래만 하는 것이 아니라 공급자가 될 수 있는 다면적인 플랫폼 형태이다.

- 다양한 이해 관계자가 함께 엮인 플랫폼이다.

- 거래 플랫폼, 싱글 플랫폼의 확장판이 멀티 플랫폼이라고 할 수 있으며, 모든 플랫폼의 궁극적인 목표가 되는 모델이다.

 

 

거래 플랫폼(2-sided Platform)

가장 기본적인 플랫폼의 형태이며, 플랫폼 사업자는 재고를 소유하지 않고 생태계를 제공한다.

주요 BM: 거래당 수수료 모델

거래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

 

싱글 플랫폼(1-sided Platform)

주로 기술 기반의 플랫폼 기업에서 취하는 형태로, 공급자에게 필요한 기능 혹은 설루션을 제공함으로써 사용료를 받는 방식이다.

주요 BM: 통신별 사용료(Transaction Fee), 기능별 사용료, 월별 사용료

 

 

멀티 플랫폼(Multi-sided Platform)

가장 확장된 형태의 플랫폼이며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유형의 제휴 고객 간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한다.

주요 BM: 광고 비용, 거래당 수수료, 플랫폼 사용료

 

 

 

 

3. 사용자와 파트너 중심의 플랫폼 기획

 

광고 플랫폼에서의 균형 잡힌 플랫폼 기획

광고 플랫폼의 사용자(일반 사용자, 비즈니스 판트너) 니즈 예시

 

플랫폼은 광고주와 사용자 사이에서 편향되지 않은 Midrange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 광고주(비즈니스 파트너): 더 높은 광고 효과를 보기 원하기 때문에 광고 최척화 및 수익 창출을 기대
  • 사용자: 광고가 없거나 필요한 광고가 나와서 콘텐츠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플랫폼을 기대

광고 상품 예시

Display AD(DA)

  • 큰 면적의 이미지 형태로 제공하는 광고
  • 광고는 효과적이지만 소비자에게 피로감을 유발

Search(SA)

  • 포털이 많이 활용하는 방식으로 특정 키워드 검색 시 해당 페이지에 노출하는 광고
  • 사용자의 행동에 따라 노출되기에 피로감은 적지만 행동이 없으면 광고 노출이 불가능함

Conversation(CA)

  • 채팅 서비스를 이용하는 기업에서 활용하는 방식으로 CRM 툴을 제공하는 형식으로 광고 노출

 

잘못된 설계 포인트의 악순환

광고 설계 포인트 예시

 

광고 지면을 확대하는 경우

  • 광고 수익 증대 → 사용자 피로도 증가 → 사용자 이탈 → 광고 효과 감소 → 파트너사 이탈 → 광고 수익 감소

광고 지면을 축소하는 경우 

  • 광고 수익 감소 → 사용자 피로도 감소 → 서비스에 투입 가능한 리소스 감소 → 만족도 ↓ → 사용자 이탈
광고 지면 추속가 아닌 로직을 설계하여 사용자들에게 유용한 광고를 적절히 노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퍼포먼스 마케팅과 타기팅

퍼포먼스 마케팅

  • 데이터 수집 및 분석 → (디지털 영역) 소비자 행동 트래킹 → 맞춤형 광고 운영 마케팅
  • 효율 기반의 마케팅에 해당
  • 퍼포먼스 마케팅 중심의 플랫폼 선순환 사이클
    • 광고 효과 up → 사용자 피로도 down, 파트너사 up → 콘텐츠 → 타기팅 고도화 → 광고 효과 up → 광고 수익 up

 

타기팅 광고

  • 성공적인 퍼포먼스 마케팅을 위해 적절한 대상에게 적당한 방법으로 적절한 시간에 맞춤형 콘텐츠를 발송하는 광고 형태
  • 타깃팅 광고의 4가지 주요 요소
    • Right Aduience(적합한 사용자)
    • Right Place(적절한 위치)
    • Right Time(적합한 시간)
    • Right Contents(적절한 콘텐츠)
  • 4R 요소가 포함된 광고가 효율 좋은 광고에 해당한다.
    • 광고 도달률을 높이기 위해 지면을 늘리기보다는 효과와 단가를 높이는 방식을 책정하는 것이 플랫폼 선순환에 도움이 된다.

 

타깃팅 광고의 활용 예시

도달 목적의 캠페인 → 잠재 고객 대상 타깃팅 → 액션 사용자 타깃팅

 

 

도달 목적의 캠페인

  • 캠페인 집행 초기 타깃 사용자층이 명확하게 특정되지 않을 확률이 높다.
  • 대규모 광고 집행을 통해 방문 및 가입을 유도한다.

 

잠재 고객 대상 타기팅

  • 방문한 사용자의 이력, 성별, 연령, 유입 경로 등을 파악해 액션을 유도한다.

 

액션 사용자 타기팅

  • 사용자 가운데 50%가 Action 유저인 경우 재액션 가능성이 높아진다.
  • 재역선을 유도할 수 있는 콘텐츠를 발행하고 데이터 기반의 광고를 노출한다.
  • 다양한 리소스로 여러 방면으로 접근할 필요성이 있다.
    • 단, 규모가 작고 집행 기간이 짧은 경우 A/B 테스트가 더 효과적이다.
  • 인포그래픽 데이터: 사용자 개인 데이터를 중심으로 확보한 추정 데이터
  • 리타기팅 데이터: 각 사용자의 서비스 활용 내역을 기반으로 타깃팅 하는 기법

타깃팅 광고 활용 예시

 

(좌): 인포그래픽 데이터 예시 / (우): 리타기팅 데이터 예시

 

나의 생각

오늘 정리를 통해 서비스 플랫폼의 종류와 각각의 특징에 대해 살펴볼 수 있었다. 플랫폼 비즈니스는 결국 멀티 플랫폼으로의 확장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더하여 사용자와 파트너사를 함께 고려하는 서비스를 분석하고 기획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볼 수 있었다. 

 

728x90

포트폴리오란?

자신의 이력이나 경력 또는 실력 등을 알아볼 수 있도록 자신이 과거에 만든 작품이나 관련 내용 등을 모아놓은 자료 묶음, 작품집으로 실기와 관련된 경력 증명서

 

 

기획자로의 목표 설정

1. 기획자의 요구 능력

  • 기획자가 되려고 하는가?
  • 나의 능력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자기 자신을 알고 나의 능력은 무엇이고 어떤 부분을 보완해야 하는지 생각해 보는 것이 중요하다.

기획자는 현황을 파악해 문제점을 발견하고 개선 방향을 수립해 개선을 실행하는 사람이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스킬이 필요하다.

→ 조직적 분석/설계 스킬
→ 문제 해결 스킬
→ 커뮤니케이션 스킬

 

2. 기획자의 유형

어떤 기획자로 성장하고 싶은가?

1. Web/App 기획

UIUX 중심의 서비스 기획
  • Web/App
  • Paper Work
  • QA/QC
  • Service
  • Structure

 

2. 전략 기획

Business 중심의 서비스 기획
  • Web/App
  • Paper Work
  • Service
  • Business
  • Analysis

3. 마케팅 기획

Cost를 기준으로 하는 기획
  • Web/App
  • Paper Work
  • Service
  • Cost
  • AD

4. 시스템 기획

기술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기획
  • Web/App
  • Structured
  • Function
  • Back Office
  • DATA

기획자의 다양한 포지션

  1. 대기업
    • 사업 기획팀
    • 서비스 기획팀
    • 게임 포탈팀
    • ....
    • 정책 기획 위주로 업무를 진행한다. 기획서와 같은 문서는 웹 에이전시 등의 수행사에 의지한다.
  2. 중소기업
    • 기획팀
    • IT 기획팀
    • 프로젝트 기획팀
    • ...
    • 필드에서 현업과 가까운 업무를 진행한다.
  3. 웹 에이전시
    • UI/UX 기획팀
    • 서비스 기획팀
    • ...
    • 프런트를 중심으로 구축하는 회사이기 때문에 UIUX를 진심으로 고민할 수 있다.
  4. 스타트업
    • 인스턴트 개발 속 기획자
    • (규모가 크지 않기 때문에 개발 속 기획자의 업무를 수행한다.)
    • 서비스를 구현하고 유치해야 하는 업무를 주로 한다.
  5. 웹 서비스
    • 서비스 기획팀
    • 기획/마케팅팀
    • 운영 기획팀
    • ...
    • 특정한 서비스에 포커싱 된 업무를 주로 수행한다.
  6. SI
    • 시스템 기획팀
    • 프로젝트 기획팀
    • PM/PL 그룹
    • ...

기업별 주요 업무와 요구 역량

대기업, 중소기업의 요구 역량

주요 업무

  • 사업 계획
  • 전략 계획
  • 예산 채정/관리
  • 정책의사 결정

요구 역량

  • 비즈니스저인 마인드
  • 빠른 판단력
  • 전략적 마인드

웹 에이전시

주요 업무

  • 서비스 기획
  • 파견 근무
  • 분석/설계
  • 문서 작업

요구 역량

  • 데이터 분석
  • 일정 준수
  • 문서 스킬
  • 커뮤니케이션 스킬

웹 서비스

주요 업무

  • 서비스 기획
  • 서비스 분석
  • 통계
  • 제휴사 협업

요구 역량

  • 데이터 분석
  • 서비스 운영
  • 모니터링 능력

SI

주요 업무

  • 서비스 기획
  • 파견 근무
  • 분석/설계
  • 정책의사결정

요구 역량

  • 데이터 분석
  • 시스템 이해도
  • 개발 구조 이해
  • 커뮤니케이션 스킬

포트폴리오 구성 요소(키워드 정의하기)

경험

실패, 성공과 무관한 경험을 강조
  1. 연구 과제 성과
  2. Case Study
  3. 인턴쉽

의지 

계획적이며 조직적인 능력 강조
  1. 개인 관리 기술
  2. 뚜렷한 목표 의식
  3. 문제 대응 능력

가능성

준비된 기획자의 모습 강조
  1. IT 자격증
  2. 각종 툴 스킬
  3. Web/App 이해도

 

포트폴리오 방향 선정하기

1. 서비스 개선

  • 현재 서비스 분석
  • 개선 방향을 검토
  • 동종 타 서비스 분석
  • 도입 기능 정의
  • 개선 방향 확정
  • 서비스 보완 설계

2. 신규 서비스

  • 서비스 콘셉트 정의
  • 시장/사용자 분석
  • 유사 서비스 분석
  • 서비스 방향 확정
  • 신규 서비스 기획

3. UIUX 분석

 1-2년차 기획자가 이직할 때 작성하면 좋은 콘셉트이다.
시장의 흐름, 트렌드가 매우 매우 중요하다.
  • UIUX 트랜드 분석
  • 현 UIUX 분석
  • 타 UIUX 분석
    • 시장을 흔드는 1위 서비스를 위주로 살펴본다.
  • UIUX 키워드 도출
    • ex) 콘텐츠 우선 주위, 명확한 내비게이션, 사용자를 중심으로 정보 재구성, 명확한 시각적 언어, 맥락에 맞는 정보와 기능, 간단해진 인증 과정, 스캐닝을 돕는 타이포그래피, 직접적인 안내, MVP에서 MLP로 등

 

포트폴리오 구성하기

데이터 분석 → 구조 분석 → 방향 설정 → 서비스 기획

 

1. 데이터 분석

  • 모바일로 구축해야 하는 당위성을 근거로 드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 여러 장의 장표로 정리하지 않더라도, 한 장(한 두 문장)의 문서로 근거를 제시한다.

2. 구조 분석

  • 기준 서비스를 잡아서 항목을 구분하고, 최대한 많은 비교군(타 서비스)을 정리한다.
  • 차별화나 특이사항은 무엇이 있는지 등을 추가하면 좋다.
  • 한 장의 표로 정리되지만, 그 안에 들어간 공력이 많다는 걸 알고 있기 때문에 가능성, 의지에 대해 보여줄 수 있다.

3. 방향 설정

  • 사용자 측면이냐, 서비스 측면이냐 등 비즈니스에서 성공과 실패를 좌우하는 것이 바로 방향이다.
  • 어떤 키워드를 방향으로 잡고 가느냐에 따라서 다른 콘셉트가 될 수 있다.

4. 서비스 기획

  • 화면 설계서 작성을 한다. 
  • 프로토타입을 넣어주면 더욱 좋다.
  • 화면 설계서 + Description을 추가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포트폴리오에 잘 녹이는 것이 중요하다.
짜임새 있게 구성하면 차별화된 포트폴리오가 될 수 있다.

 

 

포트폴리오 작성하기

포트폴리오 내용

1. 프로필

2. 기획자로서의 포부 & 목표

3. 보유 기술 및 역량

4. 연구 과제 및 사례(해외 어학연수 등 개인 경험)

5. 웹/앱 기획 사례

+ Attach

포트폴리오 작성 시 주의사항

  1. 10 페이지 내외의 분량
  2. 포지션 명확화
  3. 문장체 통일(서술형 vs 명사형)
  4. 키워드 중심으로 정리(호기심 자극, 후킹)
  5. 도식화, 단순화

 

포트폴리오 표지 및 목차

1. 표지

  • 나의 의지를 명확하게 하나의 키워드(문장)으로 표현하는 것이 좋다.

표지 예시

2. 목차

  1. 프로필
  2. 지원 동기
  3. 보유 역량
  4. 연구 과제
  5. 서비스 기획 사례

목차 예시

 

3. 프로필

  • 사진 및 연락처
  • 소개
  • 학업
  • 경력
  • 수행 프로젝트 등 

4. 지원 동기

 00 서비스와 함께 성장하고 싶은 기획자 / 더 나은 서비스를 고민하는 기획자

카피/키워드로 소개글을 작성하면 좋다.

  • 경험: 자신의 경험을 키워드로 명쾌하게 정리
  • 의지: 기획자로서 성장하기 위해 필요한 역량이 무엇인지 표명
  • 가능성: 역량을 키워갈 방법 또는 자신이 가진 역량을 제시

OO 서비스 개선

1. 현 서비스의 문제점: 소프트한 문제점으로 명기함

2. 개선 방향: 근거가 제시된 개선 방향을 명기함

3. 서비스 설계 및 포토샵 개선안 예시: 가급적 단순 와이어프레임보다는 프로토타입 형태가 훨씬 유용함.

 

 

4. 보유 역량

서비스 기획자 홍길동의 강점! : 엑셀, 프로토파이, 포토샵, 언어 등등

 

5. 연구 과제

  • 본인이 어떤 일을 해온 사람이라는 히스토리를 이야기한다.
  • 지나온 세월 중에 강조할 만한 것, 보여줄 만한 것, 자기 자신을 나타낼 수 있는 내용을 선별한다.

 

6. 서비스 기획 사례 1(서비스 개선 기획)

1. 데이터 분석

  • 실제 문제가 있는 부분을 캐치해서 현황 분석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2. 개선 방향 선정

3. 서비스 설계

 

6. 서비스 기획 사례 2(신규 서비스 기획)

1. 타서비스 분석

  • 많이 분석할수록 좋으며, 비슷한 플로우를 가진 다른 분야의 서비스도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2. 구축 방향 선정 

  • 포트폴리오를 위한 기획일 경우 대세에 따르는 것이 중요하다(벤치마킹).
  • 특정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는 킬러 콘텐츠만으로 구성
  • 사용자를 고려해 스크롤 최소화, 폰트, 컬러 정의
  • 운영 최소화를 위해 별도 관리자가 아닌 화면 내 등록/수정/삭제할 수 있는 관리 기능 구현

6. 서비스 기획 사례 3(UIUX 개선: 트렌드에 따른 개선 제안)

  1. UIUX 분석 
    • UIUX는 트렌드 분석이 필수다.
    • 방해 요소 없는 UX
    • 굵은 글꼴
    • 적절한 색상 조합
    • 빈 공간
  2. UIUX 키워드 도출
    • 로그인 목적에 벗어난 불필요한 콘텐츠 제거
    • 강약에 대한 명확한 정의
    • 사용자의 손가락 움직임 최소화
    • 심플한 UX 제공
  3. 서비스 설계

6. 서비스 기획 사례 3(UIUX 개선: UIUX 관련 이론에 따른 개선 제안)

1. 제이콥의 법칙

  • 익숙한 것을 표현하라.
  • 기억을 기준으로 표현하라.

2. 피츠의 법칙

  • 인터렉티브 요소를 손으로 터치하는 데 지장을 줄 수 있는 크기로 기획하지 않는다.

3. 힉의 법칙

  • 중복과 과잉을 피하라.
  • 헤더에도, 앱 바에도 같은 아이콘이 있다면 중복과 과잉이 될 수 있다.

4. 밀러의 법칙

  • 앱바의 내비게이션 수를 7개로 제한한다.

 

6. 서비스 기획 사례 4(수업 과제)

  1. 주차별 수업/과제
  2. 최종 과제 중 선정

6. 서비스 기획 사례 5(화면 설계서: 3장 이상 설계)

  1. 모바일 프론트 
    • 프로젝트 명, 기간, 역할, 기대효과, 현황 등 필수로 넣어주기
    • 반드시 화면 설계를 스스로 고민해서 작성할 필요는 없다.
    • 역기획을 통해 실제 서비스 샘플링을 진행해 보고, 작은 부분이라도 개선해 본다. 그냥 그대로 화면 설계를 해봐도 된다.
  2. 백오피스
    • 백오피스에 대한 이해도 여부는 점수에 큰 영향을 미친다.
    • 자세하게는 알 수 없다(주니어 기획자는 경험이 없을 수밖에 없다), 간단하게라도 꼭 다뤄본다.
  3. PC 화면
    • PC 화면 설계도 고민해 본다.

 

인사 담당자의 시선(- 실무 담당자)

기획자 모집 공고(신입)

신입 공고 예시

기획자 모집 공고(경력)

경력 공고 예시

 

 

이런 서비스 기획자를 원합니다.

  • 트렌드와 서비스 분석을 할 줄 아는가?
  • 메뉴 구조, IA를 이해하고 있는가?
  • 서비스 프로세스와 플로우 차트를 이해하고 있는가?
  • 스토리보드를 작성할 수 있는가?
  • 서비스의 전체적인 로직은 고민하는가?
    • 어떻게 서비스 기획을 해야 하는지 고민하는 사람
  • 커뮤니케이션이 유연한가?
728x90

들어가며

화면 정의서 안에 들어가는 내용들을 살펴본다.

 

 

1. 버전

  1. 화면 정의서 안에는 UI만 변경한 것들도 정의를 해줘야 한다. 
    • → 디자이너가 바뀐 UI를 알아야 한다.
  2. 용어 수정 시 변경한 내용을 작성해야 한다.

 

 

2. 서비스 개요

다음과 같은 내용을 작성한다.
  1. 기획 배경
  2. 기획 목적
  3. 기대 효과
  4. 주요 개선 요구 사항
  5. 기타 요구 사항

 

3. 사용자 환경 1

개선하는 방향과 환경 등을 작성한다.
  1. PC 
    • ex) chrome, Safari, Opera, Whare 최신 버전
  2. Moblie
    • Android 8.0 이상
    • iOS 14.0 이상

3-1. 사용자 환경 2

해상도에 따른 기준을 작성한다.

 

해상도 기준: PC

  1. 1600*900 (최소 사용자 기준)
    • 표준 사용환경일 대 세로 스크롤 생성되지 않음
  2. 브라우저 축소나 확장에 따른 단건 컨포넌트 Resize는 하지 않으나, 그리드 Resize는 적용한다.
  3. 그래픽 안전 영역
    • 그래픽 안전 영역: 기준 해상도의 화면에서 브라우저 영역의 Border 부분을 뺀 나머지 부분을 디자인으로 적용하는 영역
    • 그래픽 사이즈: 1600*900 해상도 기준 1600*860

해상도에 따른 화면 디자인 영역 표기

해상도 선정 기준의 근거를 포함하는 것이 중요하다.
 - 국내 PC/Mobile 해상도 사용 현황 등

 

해상도 기준: Moblie

  1. 1080*1920(최소 사용자 기준)

 

4. 정책 정의 

  1. 사용자에 대한 정책
  2. 사용자 상태 구분
  3. 로그인 등
문서 다운로드 기능이 필요한 경우 파일 포맷에 대한 정의도 필요하다.

 

 

5. IA(정보 구조도)

IA 예시

 

6. Menu Tree 

 각 사용자가 사용하는 메뉴(menu)의 Tree 구조를 문서화한다.

7. 서비스 프로세스

  1. 시스템 이용 프로세스
  2. 사용자 유형별 메뉴 권환
  3. Flow Chart 
  4. Layout

 

8. Storyboard

→ 시스템 설계 시 공통에 대한 정의를 앞단에 해두면 좋다.

→ Link: 화면이 전환되어서 해당 화면에서 변경이 이루어지는 것

 

Layer Popup: 화면 유형이 다른 것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면 좋다.

LP임을 보여주는 backgroud color

 

 

9. 가이드

작업 시 헷갈리는 항목 등을 가이드라인을 통해 명확화한다.
  1. 버튼 및 컨퍼넌트 정의
  2. 데이터 정렬 기준
  3. 레이블 정의 등

 

 

 

Summary
- 화면 정의서에 들어가는 문서들을 순서대로 정리했다.
문서 버전 → 서비스 개요 → 사용자 환경 → 정책 정의 → IA → Menu Tree → 서비스 프로세스 →Story board → 가이드
728x90

들어가며

이번 시간에는 기획자가 서비스를 기획할 때 작성하는 문서들을 알아보고 각각의 문서들을 어떻게 작성하는지 예시를 통해 살펴본다.

 

1. IA (Information Architecture)

서비스 전략과 방향을 반영한 구조로 서비스 용어 및 운영 프로세스 구조를 정의한다.
  • AS-IS의 문제점들을 정리
  • 정보구조가 비체계적으로 구성된 서비스는 사용자가 헷갈린다(논리적이고 체계적 구조를 가져야 하는 이유).
  • 개선 방향을 포함한 목적, 방향 설정
    • 서비스가 복잡할수록, 목적과 방향을 명확하게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 벤치마킹을 통해 타사의 정보구조 참고
    • 동종업계, 리더그룹이 어떤 정보구조를 가져가고 있는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 서비스의 전략과 방향을 반영한 구조
  • 서비스 용어 및 운영 프로세스 구조 정의
    • 큰 프로젝트는 다양한 팀이 모듈별로 업무를 담당하여 같은 기능을 다른 용어로 사용하기도 한다.
    • 이것이 사용자를 혼란스럽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서비스 용어 정리한 용어집 제공 등의 방식으로 용어 통일을 권장한다.
  • AS-IS의 IA 중 중복 및 불필요한 정보 정리
  • TOBE의 개선 방향을 포함한 IA 설계

IA 예시

 

카카오 홈페이지 예시

카카오 홈페이 IA 예시

  • 그룹핑을 하기 때문에 one-depth가 기준이다.
  • two-depth까지 화면 아이디를 내리지 않는다.
  • depth 사이에 여백을 두어 위치 변경 시에 대비한다.
  • 다크모드, 언어 변경, 관련 사이트 연동 등은 IA가 아니니 주의해야 한다.

카카오 예


 

2. User Process

  •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프로세스
    예시) 사이트에 회원가입을 수행하는 경우
    회원가입 클릭 → 본인 인증, 개인정보 작성 → 가입 완료의 과정
  • IA를 기준으로 행동하는 사용자의 흐름
  • 데이터의 이동 흐름과 저장 / 호출 프로세스
  • 사용자의 특정 작업을 위한 경로
  • 사용자 시나리오보다 구체적으로 정의
  • UI(화면), 행동, 판단으로 표현

User Flow 구조

 

User Flow 예시

 

User Process를 정의할 때 장점

  • 페이지의 주요 프로세스를 이해
  • 인터페이스의 효율적인 설계
  • 개선이 필요한 영역 정의
  • 전체적인 흐름 이해 가능 → 개선이 요구되는 부분에 대한 보완 가능
  • 서비스의 주요 흐름을 빠르게 파악
    • 상대적으로 긴 스토리보드/와이어프레임을 확인하지 않아도 서비스의 주요 흐름을 파악 가능
  • 각 파트와의 커뮤니케이션 용이

User Flow Chart 예시

 

User Task 예시

  • Flow Chart 또는 User Task로 도식화하기도 한다.

3. Flow Chart

전체적인 서비스의 흐름에 대한 이해 후 이에 맞게 작성한다.
User Process를 도식화해서 보여주는 것이다.

 

기능 흐름(Logic Flow) 예시

 

프로세스별로 나눈 Flow Chart 예시

  • 바뀔 수 있기 때문에 직접 해보는 것이 중요하다.

4. Wire Frame

화면설계서로 분석과 벤치마킹을 통해 서비스의 목표와 방향성이 녹아져 있는 문서
  • 서비스 기획서 내에서 사용자들에게 제공되는 화면의 형태로 작성한다.
  • UI를 어떻게 표현할지, 어떤 내용으로 구성할지 등을 그려놓은 화면 프로토타입이다.
  • 웹ㆍ앱 화면의 페이지 구조 / 레이아웃 / 정보 구조 / 유저 플로우 / 스크롤, 스와이프 등에 대한 정의를 한다.

 

WireFrame 예시

Sotry Board와 와이어프레임 예시

 

와이어프레임에는 4가지 콘셉트가 녹아져 있어야 한다.

  • Why: 왜 해당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지가 명확해야 한다.
  • Goal: 어떤 목표를 설정하는가에 따라 WireFrame이 달라질 수 있다(UI가 달라짐).
  • What: 무엇을 통해 사용자와 커뮤니케이션을 할 것인가를 생각해야 한다.
  • Concept:  목표를 정했으면 목표에 맞는 콘셉트를 잘 설정해야 한다.

 

 

Wire Frame이란 비즈니스를 하는데 있어서 웹을 도구로 하는 기획서이다.

  • 웹 사용자에 대한 이해
    서비스의 주 타겟층의 라이프 스타일 등에 대한 파악
  • 웹의 구조로 표현
    PC / 모바일 등 서비스를 제공하는 매체에 맞도록 구조화 필요 (ex. 반응형)
  • 웹의 언어로 표현

웹/앱의 구조를 설계하고 화면 UI 설계

  • 콘텐츠의 적절한 배치
  • 서비스 화면 구조
  • 설득 문서

서비스 기획자의 역할

전체적인 요건에 대한 분석, 방향과 목표 설정을 통해 일정 계획을 수립하고 화면을 설계, 커뮤니케이션, 팀별 의견 조율을 위한 설득, 최종 산출물 정리 등 프로젝트의 시작과 끝의 역할을 담당한다.

 

  • 협업을 통한 WireFrame 완성하기
  • 전체 요건에 대한 분석, 방향ㆍ목표 설정
  • 일정 수립 후 화면 설계,
  • 설계된 WireFrame을 바탕으로 커뮤니케이션 수행 및 팀 별 의견 조율을 위한 설득 수행
  • 최종 산출물 정리

 

웹/앱 서비스 기획자

  • 웹/앱에서의 서비스 기획자는 프로젝트의 요건 분석과 기술적인 검토가 반영된 서비스를 설계하고 이를 통해 서비스를 구축, 운영해 나가는 Role을 가진다.
  • 국내 서비스 기획자는 Web Producer의 개념으로 프로젝트의 처음과 끝을 책임지며 다른 직군과의 커뮤니케이션이 가장 중요하다.

요건 분석

    • 서비스 설계
    • 테스트
    • 운영

 

서비스 기획자는 예외 케이스에 대해 많은 고민을 해야 한다.
모든 채용 문서에 서비스 기획자는 반드시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내용을 요구받고 있다.

 

 

Summary
- IA는 ASIS의 문제점을 정리해 TOBE의 개선 방향을 포함은 정보 구조도이다.
   - 서비스 전략과 방향을 반영한 구조로 서비스 용어 및 운영 프로세스 구조를 정의한다.
- User Process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프로세스를 정의한 문서다.
   - 데이터의 이동 흐름과 저장, 호출 프로세스를 면밀히 확인할 수 있으며, UI, 해동, 판단으로 표현한다.
   - 전체적인 시나리오 흐름을 이해할 수 있어 개선이 요구되는 부분에 대한 보완이 가능하다.
- Flow Chart는 User process를 도식화해서 보여주는 문서다.
   - 전체적인 서비스의 흐름을 이해한 후 이에 맞게 작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 Wire Frame은 사용자들에게 제공되는 화면 형태로 제공하는 문서다.
   - UI를 어떻게 표현할지 어떤 내용으로 구성할지 등을 그려놓은 프로토타입이다.
- 서비스 기획자는 전체적인 요건에 대한 방향과 목표 설정을 진행하고 이에 맞는 일정을 계획해야 한다. 
-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팀별 의견을 조율하고 설득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산출물을 작성하고 정리한다.

 

 

728x90

들어가며

이번 시간에는 서비스 분석 방법들을 다방면으로 살펴보고 분석 방법에 따른 인사이트 및 결과물을 예시와 함께 살펴본다.

 

서비스 분석 방법 구분

1. 사용자 측면

  • 제공되는 콘텐츠가 사용자의 주요 관심사인가?
  • 사용자들에게 필요한 요소 및 요구하는 사항은 적절히 배치되어 있는가?
  •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콘텐츠는 유용한 것인가?

2. 서비스 측면

  • 콘텐츠의 우선순위를 나눌 수 있는가? (=메인 / 서브 콘텐츠가 있는가)
  • 무엇이 중요한 콘텐츠이며 빠진 콘텐츠는 없는가?
  • 서비스의 동선이 존재하며 목적지까지는 쉽게 갈 수 있는가?
  • 집중해서 제공해야 하는 서비스에 시간적인 변화를 제공하는가?
  • 카테고리 별로 나누어 보는 서비스 분석 방법

서비스 분석 방법: 서비스 측면

1. 브랜딩

  • 폭 넓은 인지도를 가지고 신뢰성을 전달하고 있는가?
  • 업의 경영철학, 목표를 바르게 전달하고 있는가?
  • 기업의 아이덴티티를 사용자에게 가치 있고 신뢰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는가?
  • CI (기업 로고), BI (브랜드 로고), Naming (상호 및 상표의 네이밍)으로 기업 이미지를 통합하고 있는가?

2. 콘텐츠

  • 콘텐츠 및 소식이 자세하며 전반적인 설명과 함께 깊이 있게 구성되어 있는가? (콘텐츠 퀄리티)
  • 사용자에게 필요한 콘텐츠를 구성하고 있는가?

3. 정보 구조

    • 정보구조를 어떻게 판단하느냐에 따라 내비게이션의 배치가 달라진다.
    • 콘텐츠의 계층 구조와 분류가 논리적이며 체계적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4. 인터페이스

  • 내비게이션의 구조가 사용성에 무리가 없는가?
  • 검색 창, 콘텐츠 바로보기 등 정보를 손쉽게 탐색 / 접근할 수 있는가?
  • 현재 위치를 표시해 주어 깊이가 깊어져도 쉽게 원하는 정보로 이동할 수 있는가?

5. 디자인

  • 컬러가 브랜드 이미지와 맞는가?
  • 메인컬러와 서브컬러가 조화로운가?
  • 전체적인 Look & Feel의 통일성이 있는가?

인사이트 도출하기

분석을 한다는 것은 인사이트를 도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 얻게 된 인사이트를 문서화하는 습관을 통해 기획자의 퀄리티 향상이 가능하다.

 

현대 그룹 페이지 인사이트 예시

 

  • Target
    • 현대 그룹 홈페이지는 웹사이트밖에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반응형 웹 제작이 필요하다.
  • Contents
    • 채용 관련 정보를 부각 필요성
    • 비전과 역사에 대한 노출 강조
    • 브랜드 이미지 고급화
  • Usability
    • Easily: 이해하기 쉽게!
    • Clarify: 내비게이션 개선으로 분명하게!
    • Tenderly: 상냥하고 감성적이게!

 


서비스 분석 방법: 사용자 측면

트렌드 분석

  • 우리가 시장에서 어느 위치에 있는지, 시장은 어느 방향으로 향하고 있는지 분석한다.
  • 사용자의 '배경을 구성하는 요소'를 분석한다.
  • 새로운 기술의 변화를 감지한다.
  • 국내외의 사이트 리뷰한다.
  • 기능별, 서비스별 사이트를 구분한다.
  • 국내외 에이전시 리뷰(에이전시가 구축한 서비스를 찾아본다.)
  • 랭킹 순위 제공 서비스 사이트 (해당 랭크의 서비스를 찾아가서 왜 랭크가 이렇게 되는지 찾아본다.)
  • 고객층 데이터 분석 리포트

서비스 분석 결과

각 항목에 대한 점수를 채점하고 도식화하여 현재 서비스의 UX/UI 척도를 평가하여 TOBE 개선 방향을 도출

 

분석 결과 예시


트렌드 분석 알아보기

사용자의 배경을 구성하는 요소 분석 방법

  • 새로운 기술 변화를 감지
  • 국내외 사이트 리뷰
  • 기능별, 서비스별 사이트 구분
  • 국내외 에이전시 리뷰
  • 랭킹 순위 제공 서비스 사이트
  • 고객층 데이터 분석 리포트
진행 중인 서비스와 관련된 트렌드를 파악하여 설계의 방향으로 활용할 수 있다.
» 대담한 표현, 커스텀 콘텐츠,  마이크로인터렉션, 새로운 형태의 스마트폰, 모바일 하단 영역 확장, 내비게이션의 새로운 시대 

 

 


디자인 트렌드 분석 알아보기

사용자의 '행동 배경과 패턴을 조사'하는 분석 방법

  • 사용자의 변화를 읽는 미시적 분석
    • 전체적인 look & feel을 맞춰야 하고 color를 맞춰야 한다.
  • 경쟁업체 디자인 중심 분석
    • 요소요소를 분석한다기 보다는 경쟁 업체의 서비스 디자인을 중심으로 확인한다.
  • 트렌드를 반영한 국내외 디자인 사이트
    • 핀터레스트 등의 사이트를 살펴본다.
  • 국내외 디자인 트렌드 분석 리포트
    • 벤치마킹을 통한 시장 분석을 진행한다.

 


벤치마킹을 통한 시장 분석 알아보기

벤치마킹은 보다 효과적인 개선 방안을 찾는 가장 능동적인 학습이다.
측정 비교 학습 개선 단계로 진행

 

벤치마킹 대상

벤치마킹 대상, 항목을 선정하여 벤치마킹 자료를 만든다.
'자사'와 '타사' 벤치마킹을 실시하여 주요 항목에 대해서 분석 내용을 정리한다.
  • 경쟁사
  • 트렌드 주도 기업
  • UXUI트렌드
  • 디자인 트렌드 등을 벤치마킹

 

벤치마킹 인사이트

예시 현대 홈페이지에 대한 벤치마킹 인사이트

 

분석과 인사이트 도출을 잘하는 서비스 기획자

  • 자신의 '말'과 '글'에 힘이 생긴다.
  • 서론, 본론, 결론의 흐름이 유연하다.
  • 말과 글이 쉬워진다.

 


요구사항 수집 및 정의서 작성

요구사항 정의서 작성

작성 방법

  • 사용자, 현업 인터뷰
  • RFP, VOC, 제안서, 설문 조사 등의 데이터

작성 이유

  • 서비스 기획의 규모 파악
  • 구현 가능 여부의 의사결정
  • 서비스 기획 일정 수립
  • 분석 방향 도출 및 개선 방향 정의

요구사항 정의서 작성 방법
요구사항 정의서 예시



정책 정의하기

정책 협의

정책을 정의할 때는 도식화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 요구사항에서 합의 완료된 건을 기준으로 함
  • 프로젝트 구축 담당자들이 반드시 알아야 할 내용
  • 서비스 설계 시 오류를 범할 수 있는 내용
  • AS-IS에서 크게 변화된 TO-BE 항목 및 기능

정책 예시

회원 정책 예시

 

메뉴별 접근 권한 정책 예시

  • 권한 자체가 모두 정책이다.

사용자 정책 예시

 

사용자 상태 구분 정책 예시

 

 

Summary
- 서비스 분석 방법에는 크게 사용자 측면, 서비스 측면이 있다.
- 그 중에서도 서비스 측면에서의 분석 방법으로는 브랜딩, 콘텐츠, 정보 구조, 인터페이스, 디자인으로 카테고리할 수 있다.
- 기획자는 분석을 통해 얻은 인사이트를 문서화 하는 습관을 들이는 게 중요하다.
- 트렌드 분석 방법에는 크게 디자인 트렌드 분석과 벤치마킹을 통한 시장 분석이 있다.
- 디자인 트렌드 분석은 사용자의 행동 배경과 패턴을 분석한다.
- 벤치마킹을 통한 시장 분석은 벤치마킹 대상을 찾아 자사에 적용하기 좋은 항목들을 분석, 선정하여 개선 방안을 찾아간다.
- 기획자는 앞서의 분석을 통해 요구사항을 수집한 후 정의서 및 정책서를 작성한다.

 

728x90

 

 

서비스 기획서란?

서비스 기획서 = 화면 설계서은 아니다.
  • 현재 상황(=ASIS)을 분석해야 한다. 
  • 경쟁사 트렌드 벤치마킹
  • 현업&사용자의 요건 분석: 서비스 담당자, 팀장 등의 요구사항,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분석해야 한다.
    → 이를 통해 TOBE(=서비스 기획서)를 만드는 것
    • 요구사항 분석, 정책, IA, UX/UI, 프로세스가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서비스 기획서 작성 내용

1. 현황 분석, 타사(경쟁사), IA 분석, Function 분석을 통해 인사이트 도출

  • IA 분석
    • Depth, 업데이트 주기 등을 파악해서 요즘 서비스의 구조를 파악한다.
  • UX/UI
    • 요즘 서비스의 UX/UI를 파악한다.
  • 기능
    • ex) 회원 가입을 직접 진행하기보다는 간편 회원 가입(API) 같은 의미

 

2. 1에서 도출된 문제점의 개선 방향성이 포함된 서비스 기획서 작성

 

서비스 기획서의 프로세스

현황 분석 → 벤치마킹 → 요구사항•정책 정의 → 서비스 프로세스 플로우차트 → 화면 설계 

 

사용자 분석

사용자 분석 항목

신규 서비스, 기존 서비스 개선 모두 사용자를 분석하는 것이 업무의 시작이다.

  • [타겟] 사용자는 누구인가?
    • 예시) 50대 주부를 대상으로 하는 쇼핑몰
      젊은 디자이너가 디자인을 하여 폰트 크기가 작다.
      (이때 디자이너는 경쟁사 벤치마킹은 수행, but 타겟 유저를 고려하지 않음)
    • 타이 누구인가에 따라서 서비스의 디자인, 기능이 달라져야 한다.
          •  
  • [욕구] 사용자들은 어떤 욕구를 가지고 있는가?
    • 예시 1) 50대를 대상으로 하는 쇼핑몰은 보통 가격이 낮고 배달 가능한 서비스를 선호한다.
      니즈 충족 시 이용하게 됨
    • 예시 2) 2-30대를 대상으로 하는 쇼핑몰은 더 스타일리시한 상품을 선호한다.
      (직장인은 금액이 비싸더라도 더 스타일리시한 상품을 선택, 대학생은 가격을 더 고려함)
  • [목적] 사용자들은 무엇을 원하는가?
    • 타겟이 원하는 키워드가 있어야 할 것 → 서비스를 이요하는 목적을 분석해야 한다.
  • [행태] 사용자들은 최근에 어떤 행동을 하는가?
    • 예시) 코로나 발생 → 배달, 인테리어의 매출이 대폭 증가(사용자의 행태 변화)
  • [니즈] 사용자들은 어떻게 행동하길 원하는가?
    • A/B 테스트 등을 통해 사용자가 어떤 것을 선호하는지 파악한다.
    • 예시) 최신 콘텐츠 선호 고객은 넷플릭스를 주로 이용하고 킬링 타임용 콘텐츠를 찾는 고객은 유튜브를 주로 이용한다.

사용자 분석 방법

정량적 조사

» 수치화된 데이터를 보는 것
» 사용자 설문 조사 / 로그 데이터 분석 / A/B 테스트 등
  • 사용자 서베이
  • 퍼스트 클릭 테스트
  • 아이 트래킹
  • 데이터베이스에서 분석
  • 로그 데이터 분석
  • A/B 테스트

로그데이터 측정 지표

  1. 사용자: 인구 통계(연령, 성별), 지역(위치) 등의 데이터
  2. 사용자 행태: 서비스 방문자가 어떤 서비스 페이지를 가장 많이 조회하는지, 어떤 키워드로 가장 많이 검색하는지 등의 데이터
  3. 기술 환경: 모바일, 데스크톱의 접속 기기, 사용 브라우저, 운영체제 등의 기술 환경 관련 데이터
  4. 트래픽: 어떤 메뉴(서비스)에 가장 많이 유입되는 데이터(메뉴별 페이지뷰, 평균 머문 시간 등)
  5. 방문 채널: 서비스 방문 경로 채널, 캠페인, 직접 방문 등의 채널 데이터

 

로그데이터 활용법

  • 서비스 화면과 이벤트(클릭, 배너 노출) 등을 파악
  • 시나리오와 서비스 흐름을 이해
  • 서비스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음
  • 기능에 대한 성과 측정 및 개선 방향 설정
  • 사용자의 경로 분석 및 이탈 구간 개선
  • 신규 서비스를 위한 아이디어 도출

 

정성적 조사

» 수치화가 되어 있지 않아 이를 수치화하기 위해 다른 리소스가 투입됨
» 서비스 피드백, 사용 후기 / 인터뷰 / 현장 조사 / 고객의 소리(voc) 등
  • 게릴라 테스트
  • 인터뷰 /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
  • 현장조사
  • 연구실 조사
  • 카드 분류 테스트
  • 고객의 소리(VOC)
  • 사용성 테스트
  • 고객 여정 지도

 

사용자 분석 예시

인터뷰 예시
설문조사 예시

 

VOC 및 요구사항 예시

VOC 예시

고객은 최대한의 혜택을 받고, 상품을 구매하고 싶어 한다.

→ 혜택/쿠폰 관련 정보를 정확하게 제공

 

요구사항 예시

선물하기/조르기, 다중 배송, 마케팅 활동 증대 외 UI/UX 개선

→ 사용성 개선 및 신규 기능 구현을 통한 UI/UX 고도화

 

UI/UX 분석하기

UX를 위한 4가지 관점

  • 인지적
  • 감정적
  • 상황/맥락
  • 행동적

 

UI/UX 분석 방법

1. ASIS IA를 분석하면서 진행한다.

2. 분석 방법은 전자 정부 UXUI 가이드, 서비스에 맞는 항목을 정의하여 그것을 기반으로 분석을 진행한다.

 

IA 예시

  • ASIS IA를 정리하면서 정보구조를 파악할 수 있다.

ASIS 예시

 

  •  같은 depth라도 색이 다르면 구조가 다를 수 있다.
  •  실제 홈페이지와 비교하며 확인해 보는 시간이 필요하다.

 

IA(Menu Tree) 정리 예시

전자정부 UX/UI 가이드

각 항목에 대한 점수를 채점하고 도식화하여 현재 서비스의 UX/UI 척도를 평가하여 TOBE 개선 방향성 도출
  1. [기능성•정보성] 사용자에게 필요한 기능과 정보를 제공한다.
    •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와 기능을 제공하고 있는가?
    • 사용자가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충분한 양의 정보와 기능을 제공하고 있는가?
    • 중요한 정보와 기능을 효과적이며 이해하기 쉽게 표현하고 있는가?
  2. [사용성]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단계를 최소화한다.
    • 웹사이트는 사용자가 요청한 작업에 대해 적절한 속도로 반응하는가?
    •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 및 기능에 빠르게 접근할 수 있는가?
    • 하나의 과업을 완료하기 위해, 동일한 작업을 여러 번 반복하지 않는가?
    • 작업 수행에 불필요한 단계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가?
  3. [직관성•일관성] 직관적이고 일관성 있게 만든다.
    • 모든 정보와 기능은 논리적 흐름에 적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가?
    • 사용자가 이해하기 쉬운 단어와 문장을 사용하고 있는가?
    • 용어, 스타일, 레이아웃, 기능의 작동 방식 등은 전체 페이지에서 일관성 있게 적용되고 있는가?
    • 정보의 표현과 기능의 작동 방식은 일반적인 사용자의 기대에 부합하는가?
    • 사용자의 행동에 도움이 되는 단서 및 정보를 적절한 시기와 위치에 제공하고 있는가?
  4. [인터페이스] 사용자가 실수하지 않게 만든다.
    • 사용자의 실수를 유발하는 요소가 있는가?
    • 심각한 결과를 유발하는 기능의 실행 여부를 사용자에게 확인하고 있는가?
    • 사용자가 오류를 빠르게 인지할 수 있도록 표현하고 있는가?
    • 동작을 취소하거나 이전 상태로 돌아갈 수 있는 수단이 제공되고 있는가?
  5. [접근성] 모든 유형의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게 만든다.
    • 장애가 있는 사용자에게 비장애 사용자와 동등한 수준의 정보와 기능을 제공하는가?
    • 다양한 웹 브라우저에서 모든 기능을 동등하게 이용할 수 있는가?
    • 초보 사용자와 숙련된 사용자가 웹사이트에서 제공되는 모든 기능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가?
  6. [정보구조] 원하는 서비스와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게 만든다.
    • 사용자가 원하는 페이지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수단을 제공하는가?
    •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내비게이션 모형을 적절하게 구현하고 있는가?
    • 중요한 정보와 다른 정보 간 위계를 명료하게 구분하고 있는가?

 

 

나의 생각

이번 시간에는 서비스 기획서를 작성하는 방법과 작성 예시를 살펴보며 서비스 기획자가 다룰 문서들을 방법론 위주로 살펴보았다. 특히 사용자 분석을 통해 UI/UX를 집중적으로 살펴보며 사용성을 위한 기획을 하는 방법을 알 수 있었다.

728x90

AARRR 분석의 각 단계별 과정

출처: Dave mcClure slideshare

 

AARRR 제대로 살펴보기

1. Acquisition(획득): 신규 고객 유치

    신규 고객을 어떻게 유치하는가?

    신규 고객들은 어떤 방법으로 우리 제품을 처음 접하는가?

* KPI: 신규 방문자 수

 

서비스 기획자가 보는 지표:

  • CAC: Customer Acquisition Cost(고객 획득 비용)
  • CTR: Click Through Ratio(노출 대비 클릭률)
  • ROAS: Return On Ad Spend(광고비 대비 매출액)

 

  • 비용 / 고객 획득 수 = 고객 획득 비용
    CAC를 줄이기 위해 고객 획득 비용을 줄이던가, 같은 비용으로 더 많은 고객을 획득해야 함
    CAC가 LTV(Life Time Value)를 넘어가면 안 됨
    주로 마케팅 팀이 고민하지만, 기획자는 데이터를 보고 기획의 방향성을 정할 수 있음

*LTV = (평균 구매 금액 x 총 마진 x 구매 빈도 x 고객 수명) - 고객 획득 비용

 

 

 

<퍼포먼스 마케팅 A, B 테스트>

 

 

고객 획득 방법

  1. 효율이 높은 채널에서 효율이 높은 메시지를 지속 노출하는 방법
  2. 제휴를 통해 채널 배너 트래픽 공유
  3. 구글 UAC 적극 활용
  4. SNS 마케팅 활용
  5. 오프라인 쿠폰 및 전단지 활용

 

2. Activation(활성화): 원하는 행동 달성

 

Friction 줄이기

  • Friction: 사용자들이 프로덕트에서 경험하는 마찰
  • Friction을 개선하면 Activation 향상 가능
  • (정량적) 데이터(퍼널 전환율) 분석해서 이탈이 많이 일어나는 구간 찾기
  • (정성적) 데이터는 What은 보여주지만, Why는 보여주지 않음
  • 고객 인터뷰로 'Why 이탈했는지' 알아냄

B = M x A x P: Solution을 찾는 Framework

* Behavior = Motivation x Ability x Prompt

  • Motivation: 동기가 충분히 클 때 행동한다
    • Perceived value(유저가 인지하는 가치)가 가격보다 낮다: 유저가 프로덕트의 가치를 충분히 경험하게 한다. 특정한 기능을 무료 체험 시켜서 락인
  • Ability: 행동할 수 있는 능력이 충분히 있을 때 행동한다
    • 결제하고 싶은 사람이 결제할 수 있게 함
      (신용카드가 없는 사람은 현금 지불, 10대는 문화상품권으로 결제 가능하도록)
  • Prompt: 알림이나 트리거(내적/외적)가 주어졌을 때 행동한다
    • 마케팅 커뮤니케이션(푸시, 문자 등) 프로덕트 내 CTA(Call To Action)
  • Friction 줄이기
    - 우리가 원하는 것은 고객이 '구매 행동'을 하는 것. 구매 행동을 하기까지 friction은 무엇이 있을까?

레이저 포커스: 마치 레이저로 한 점을 계속 지지듯이 고객이 원하는 행동만 할 수 있도록 집중하다 못해 집착한다. 

 

서비스 기획자가 보는 지표: 

  • CVR(ConVersion Rate): 전환율

CVR 계산법

 

 

3. Retention(재방문): 이미 온 고객이 다시 방문하는 것

 

리텐션에서 가장 중요한 것

  • 고객이 다시 방문할 만한 좋은 제품을 만드는 것
  • 신규 고객에게 더 좋은 경험을 제공하여 리텐션 커브를 올릴 것인지?
  • 기존 고객에게 더 좋은 경험을 제공하여 리텐션 커브를 올릴 것인지?

서비스 기획자가 보는 지표: 

  • Cohort retention: 공통된 특성이나 경험을 가진 그룹이 시간에 따라서 유저 리텐션이 어떻게 바뀌는지를 분석함

 

4. Revenue(수익률): 서비스의 수익 창출 방법

 

스타트업 수익 모델의 종류

  1. 광고 기반 수익 모델 = 페이스북, 트위터(X),  인스타그램 등
  2. 구매 및 거래 기반 수익 모델 = 아마존, 쿠팡, 레진코믹스 등
  3. 구독형 수익 모델 = 넷플릭스, 왓챠, Slack 등

서비스 기획자가 보는 지표:

  • CLV(Customer Life time Value): 고객 생애 가치
    • (평균 구매 금액 x 총 마진 x 구매 빈도 x 고객 수명) - 고객 획득 비용
    • ex) 월간 구독료 $10인 서비스에서 총마진이 70%이고, 고객 수명은 60개월인데, 고객 1명을 확보하기 위해 $20이 든다면?
      • CLV = ($10/월 x 0.7 x 12개월/년 x 5년)-$20 = $400

 

5. Referral(추천): 고객이 추천할 만큼 좋은 서비스를 만드는 것

 

서비스 기획자가 보는 지표:

  • Share Rate(공유 비율): 우리가 설계한 레퍼럴 UI의 편리함, 레퍼럴을 통한 보상이 적절한지 확인 가능

1. 추천인 코드(시크릿 쿠폰)

 

 

Carrying capacity(환경 수용 능력)

고객이 우리 서비스에 들어와서 더 이상 쓸모가 없다고 할 때까지의 앱 내에서의 환경 수용력

신규 유저를 확보하는 데 집중하는 것이 중요한지 이미 빠져나간 고객을 다시 불러오게 하는 게 중요한지를 판단할 수 있음

서비스가 해당 비즈니스로 수용 가능한 한계까지 갔으면 해당 제품에 광고를 해야 하는지 또는 개선할 것인지 또는 신사업을 해야 하는지 

고민할 거리가 됨

 

 

 

 

 

마켓컬리로 살펴보는 AARRR

* 컬리의 AARRR 퍼널로 통한 핵심지표 설정

 

A: Acquisition = 신규 방문자 수

마켓컬리는 신규 방문자 수를 적극적으로 늘리기 위해 TV 광고를 시작했는데, 어떤 광고 모델을 내세우더라도 '마켓컬리' 서비스를 직접 사용해보지 않는다면 오히려 효과가 반감될 것이라고 생각했다고 함. 우연히 배우 전지현이 마켓컬리 서비스를 즐겨 사용하는 유저임을 발견하게 되었고 이를 계기로 광고 섭외가 이루어졌다고 알려져 있음. 첫 광고 후 당시 동시 접속자가 10배로 증가할 정도로 큰 인기가 있었음. 이후 재치 있는 문구와 cf로 사람들의 공감을 일으키는 공감 마케팅을 진행했고, 현재는 배우 박서준이 마켓컬리의 새 얼굴로 활동 중임

 

A: Activation 

웰컴 딜 광고: 첫 구매하면 요즘 핫한 상품이 100원!

 

R: Retention= 재구매율

첫 주문 후 한 달 동안 결제 금액의 5% 적립 이벤트 활용, 첫 구매 시 한 달 내내 무료 배송. 쿠폰 기간 연장 이벤트 안내 발송 등으로

리텐션에 힘씀

 

R: Revenue= 수익률

구매 전환율과 주문별 객단가를 높이기 위해 '컬리 레시피' 운영. 고객들에게 맛있는 음식 레시피를 제공하고 재료를 바로 구매할 수 있도록 유도해 맛있는 요리를 만들어 먹을 수 있도록 장려. 더 많은 식자재를 구매하도록 유도함

 

멤버 등급별 혜택을 세분화하는 것도 Revenue의 일환.

 

R: Referral

친구를 초대할 때마다 적립금 5000원을 무제한으로 뿌림. 매 반기마다 컬리 프렌즈 어워드를 보여주면서 컬리 이용자들에게 동기부여를 제공함. 장바구니 이벤트를 통해 SNS에 마켓컬리를 통해서 물건을 구매하고 자랑하면 혜택을 주는 형태로 추천을 늘리는 활동 중.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