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며
플랫폼 비즈니스, 플랫폼이 어떻게 사업을 창출해 내는지 살펴보고 그 과정 내에서 사용자와 파트너를 고려하는 방법과 이유에 대해 알아본다.
1. 플랫폼 비즈니스란?
플랫폼이란?
수요자와 공급자 간의 거래가 가능하도로 구현된 생테계
- 플랫폼은 각자의 비즈니스 전략, 프로덕트 방향성, 사용자 카테고리, 공급자 카테고리 등에 맞춰 각자에 맞는 성장 사이클을 만들어서 더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더 나은 설루션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생태계를 구축하고 수요자와 공급자 간의 거래를 촉진하여 특정 가치를 포착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비즈니스 모델
- 공급자, 수요자에 편향된 서비스를 제공해서는 되지 않으며 많은 이해관계자의 니즈를 충족하는 것이 필요하다.
플랫폼 성장 사이클
플랫폼 비즈니스란?
생태계를 구축하고 수요자와 공급자 간의 거래를 촉진해 특정 가치를 포착하고 수익을 창출하는 비즈니스 모델
- B2C 기업의 수익 모델은 기존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 편의를 증대시키는 것
- B2B 기업의 수익 모델은 효율적이고 효과 좋은 설루션을 제공하여 기업과 파트너사의 이윤 창출
- 회사의 생존을 위해 이윤을 추구 → 테크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 = 비즈니스 플랫폼
2. 플랫폼 기획과 비즈니스 모델
비즈니스 모델 유형
1. 거래 플랫폼
거래 중개
- 특별한 니즈가 있는 사용자와 공급자를 매칭시킨다.
- 공급자와 수요자 양쪽 모두와 거래가 이뤄지도록 한다(거래 자체에 집중).
2. 싱글 플랫폼
인공지능 기반의 기능 제공 플랫폼
- 플랫폼 사업자의 갖춰진 인프라를 기반으로 API나 SDK와 같은 기능(설루션)을 수요자에게 제공한다.
- 공급자가 본인 플랫폼 사업자 자신이기 때문에 공급자가 별도로 존재하지 않는다.
- 싱글 플랫폼의 수요자는 대부분 기업 또는 조식의 형태를 띤다.
3. 멀티 플랫폼
트래픽 기반의 설루션 제공
- 플랫폼 비즈니스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를 띤 플랫폼이다.
- 공급자와 수요자를 단순히 매칭시키는 것이 아니라, 공급자도 수요자가 될 수 있으며 수요자도 단순히 서비스를 이용하고 거래만 하는 것이 아니라 공급자가 될 수 있는 다면적인 플랫폼 형태이다.
- 다양한 이해 관계자가 함께 엮인 플랫폼이다.
- 거래 플랫폼, 싱글 플랫폼의 확장판이 멀티 플랫폼이라고 할 수 있으며, 모든 플랫폼의 궁극적인 목표가 되는 모델이다.
거래 플랫폼(2-sided Platform)
가장 기본적인 플랫폼의 형태이며, 플랫폼 사업자는 재고를 소유하지 않고 생태계를 제공한다.
주요 BM: 거래당 수수료 모델
싱글 플랫폼(1-sided Platform)
주로 기술 기반의 플랫폼 기업에서 취하는 형태로, 공급자에게 필요한 기능 혹은 설루션을 제공함으로써 사용료를 받는 방식이다.
주요 BM: 통신별 사용료(Transaction Fee), 기능별 사용료, 월별 사용료
멀티 플랫폼(Multi-sided Platform)
가장 확장된 형태의 플랫폼이며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유형의 제휴 고객 간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한다.
주요 BM: 광고 비용, 거래당 수수료, 플랫폼 사용료
3. 사용자와 파트너 중심의 플랫폼 기획
광고 플랫폼에서의 균형 잡힌 플랫폼 기획
플랫폼은 광고주와 사용자 사이에서 편향되지 않은 Midrange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 광고주(비즈니스 파트너): 더 높은 광고 효과를 보기 원하기 때문에 광고 최척화 및 수익 창출을 기대
- 사용자: 광고가 없거나 필요한 광고가 나와서 콘텐츠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플랫폼을 기대
광고 상품 예시
Display AD(DA)
- 큰 면적의 이미지 형태로 제공하는 광고
- 광고는 효과적이지만 소비자에게 피로감을 유발
Search(SA)
- 포털이 많이 활용하는 방식으로 특정 키워드 검색 시 해당 페이지에 노출하는 광고
- 사용자의 행동에 따라 노출되기에 피로감은 적지만 행동이 없으면 광고 노출이 불가능함
Conversation(CA)
- 채팅 서비스를 이용하는 기업에서 활용하는 방식으로 CRM 툴을 제공하는 형식으로 광고 노출
잘못된 설계 포인트의 악순환
광고 지면을 확대하는 경우
- 광고 수익 증대 → 사용자 피로도 증가 → 사용자 이탈 → 광고 효과 감소 → 파트너사 이탈 → 광고 수익 감소
광고 지면을 축소하는 경우
- 광고 수익 감소 → 사용자 피로도 감소 → 서비스에 투입 가능한 리소스 감소 → 만족도 ↓ → 사용자 이탈
광고 지면 추속가 아닌 로직을 설계하여 사용자들에게 유용한 광고를 적절히 노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퍼포먼스 마케팅과 타기팅
퍼포먼스 마케팅
- 데이터 수집 및 분석 → (디지털 영역) 소비자 행동 트래킹 → 맞춤형 광고 운영 마케팅
- 효율 기반의 마케팅에 해당
- 퍼포먼스 마케팅 중심의 플랫폼 선순환 사이클
- 광고 효과 up → 사용자 피로도 down, 파트너사 up → 콘텐츠 → 타기팅 고도화 → 광고 효과 up → 광고 수익 up
타기팅 광고
- 성공적인 퍼포먼스 마케팅을 위해 적절한 대상에게 적당한 방법으로 적절한 시간에 맞춤형 콘텐츠를 발송하는 광고 형태
- 타깃팅 광고의 4가지 주요 요소
- Right Aduience(적합한 사용자)
- Right Place(적절한 위치)
- Right Time(적합한 시간)
- Right Contents(적절한 콘텐츠)
- 4R 요소가 포함된 광고가 효율 좋은 광고에 해당한다.
- 광고 도달률을 높이기 위해 지면을 늘리기보다는 효과와 단가를 높이는 방식을 책정하는 것이 플랫폼 선순환에 도움이 된다.
타깃팅 광고의 활용 예시
도달 목적의 캠페인 → 잠재 고객 대상 타깃팅 → 액션 사용자 타깃팅
도달 목적의 캠페인
- 캠페인 집행 초기 타깃 사용자층이 명확하게 특정되지 않을 확률이 높다.
- 대규모 광고 집행을 통해 방문 및 가입을 유도한다.
잠재 고객 대상 타기팅
- 방문한 사용자의 이력, 성별, 연령, 유입 경로 등을 파악해 액션을 유도한다.
액션 사용자 타기팅
- 사용자 가운데 50%가 Action 유저인 경우 재액션 가능성이 높아진다.
- 재역선을 유도할 수 있는 콘텐츠를 발행하고 데이터 기반의 광고를 노출한다.
- 다양한 리소스로 여러 방면으로 접근할 필요성이 있다.
- 단, 규모가 작고 집행 기간이 짧은 경우 A/B 테스트가 더 효과적이다.
- 인포그래픽 데이터: 사용자 개인 데이터를 중심으로 확보한 추정 데이터
- 리타기팅 데이터: 각 사용자의 서비스 활용 내역을 기반으로 타깃팅 하는 기법
나의 생각
오늘 정리를 통해 서비스 플랫폼의 종류와 각각의 특징에 대해 살펴볼 수 있었다. 플랫폼 비즈니스는 결국 멀티 플랫폼으로의 확장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더하여 사용자와 파트너사를 함께 고려하는 서비스를 분석하고 기획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볼 수 있었다.
'기획이란 > 개념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객의 행동에서 찾은 임팩트 기회: 29CM의 재구매율 임팩트 사례 (0) | 2024.01.29 |
---|---|
인사 담당자가 좋아하는 포트폴리오 작성 방법 (1) | 2024.01.17 |
서비스 기획서 작성하기 4: 화면 정의서 항목 살펴보기 (0) | 2024.01.16 |
서비스 기획서 작성하기 3: 기획자가 작성할 문서 알아보기 (0) | 2024.01.09 |
서비스 기획서 작성하기 2: 서비스 분석 방법 알아보기 (0) | 2024.01.09 |